Ⅲ.연구역량 영역

1. 참여교수 연구역량

1.1 연구비 수주실적

<표 3-1> 최근 3년간 참여교수 대표 연구비 수주실적 - 본 지표는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여 제출

1.2 연구업적물

➀ 참여교수 대표연구업적물의 우수성

<표 3-2> 최근 5년간 참여교수 대표연구업적물 실적 - 본 지표는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여 제출

참여교수 저서, 특허, 기술이전, 창업 등 실적의 우수성

<표 3-3> 최근 5년간 참여교수 저서, 특허, 기술이전, 창업 실적 등 - 본 지표는 시스템 입력 제출

③ 교육연구단의 학문적 수월성을 대표하는 연구업적물 (최근 10년)

<표 3-4> 최근 10년간 교육연구단의 학문적 수월성을 대표하는 연구업적물 

최근의 암 연구에서 가장 많은 시도와 진전이 있었던 분야는 바로 면역항암치료로서, 특히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장착한 CAR-T 혹은 CAR-NK라고 하는 면역세포들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암 살상 능력을 보유하는 CAR 세포 개발하기 위하여 컴퓨터 연산 논리회로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공략할 수 있는 스마트 면역세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세포 단위에서 정확히 암세포들에서만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발굴하기 위해 대규모 암 및 정상 단일세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암세포들과 정상세포들을 가장 잘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 조합을 검색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함. 특히 주목할 점은 수백만개의 개별 암세포 및 정상세포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CAR 세포용 회로들을 찾아낸 과정이며, 이는 인공지능과 컴퓨터 논리회로를 면역세포 엔지니어링에 적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로서 혈액암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R 세포치료가 고형암으로 확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암세포만 골라 공략하는 스마트 면역세포 기술 개발”, “암 백신 개발 핵심 연결고리 신생항원 예측 모델 개발”, “인공지능으로 면역항암제 부작용 예측”이라는 제목으로 주요 언론의 주목을 받았음.

본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최정균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정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2023)을 수상하였으며, 면역항암치료 타겟 발굴 및 진단기술로 ㈜펜타메딕스를 창업하였음.

국내 최대 의료기기전시회인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KIMES) 에 부스발표를 통해 초고속분자진단시스템 홍보 (2021.03.18.-21, COEX), ACS NANO 2021 발표성과 언론 홍보 (연합뉴스, 동아사이언스, 전자신문등 국내외 38건의 뉴스매체홍보, 2021.06.07.)

현장진단용 초고속 분자진단시스템의 핵심소자 원천기술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KR10-1272316, KR10-2220637, KR10-2020-0135338, KR10-2021-0030961 대한민국 특허 4건, US17/058,444 1건, PCT/KR2019/006420 1건)과 해당분야 최우수논문 (KS Kim et al. Light: Science & Applications 2019, BH Kang et al. ACS Nano 2021, BH Kang et al. ACS Nano 2023)을 연달아 발표 하였고, 산학연병 (KAIST, 주식회사-오상헬스케어, 나노종합기술원, 삼성서울병원) 구성된 컨소시엄은 공동 연구과제 (KAIST 코로나19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 2021-2022 총15억/2년, 한국연구재단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나노커넥트 2022-2025, 총 30억원/3년)를 통해 기술사업화 (오상헬스케어 통상실시 1억원/3년 계약완료)를 위한 노력을 활발히 진행 중임.

본 연구개발에 주저자로 참여한 강병훈 박사과정 (BK 참여학생, 지도교수:정기훈교수)은 MicroTAS 2022 CHMINAS Award를 포함하여 국제저명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 2회 수상과 한국바이오칩학회등 국내수상 4회 수상함. 초고속 분자진단시스템은 현재 통상기술실시권을 이전한 ㈜오상헬스케어(매출:1,295억/2021년)를 통해 기술사업화를 진행 중이며, 분자진단시스템의 초박형현미경인 마이크로렌즈어레이카메라는 참여학생이었던 장경원 박사과정이 ㈜마이크로픽스사를 2021년에 정기훈 교수와 공동창업함.

본 연구를 추가 진행하기 위하여 2020년 기초연구실 과제를 지원받음. 최초로 사람에서 mLVs의 flow velocity를 측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측정값을 report하였고 (Fluids and Barriers in the CNS 2023), 사람에서 CSF의 pulsation을 일반적인 fMRI로 측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뇌기능 도중 CSF pulsation이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보였음 (NeuroImage 2022). 2023년에 기초연구실 과제들 중 30%만 지원하는 기초연구실 후속연구에 선정됨. 두 번의 기초연구실 과제를 통해 BK 사업단 참여교수들과 함께 CSF와 mLVs를 통한 뇌노폐물 배출이 뇌인지기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밝히고 있으며, 뇌노폐물 배출 활성화를 통해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방법을 개발하고 있음. 향후 뇌 속 노폐물의 배출 경로를 정확히 밝히고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를 위한 중요한 타켓 및 치료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1.3 교육연구단의 연구역량 향상 계획 

2. 산업⦁사회에 대한 기여도

2.1 산업⦁사회 문제 해결 기여 실적

<표 3-5> 최근 5년간 참여교수 산업·사회 문제 해결 기여 실적 

2.2 산업⦁사회 문제 해결 기여 계획

본 사업에서는 학과 비전 및 목표에 의거,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을 위한 혁신적인 바이오/뇌인지 공학의 창조를 통해 산업 및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1) 연구를 통한 산업 사회 문제 해결 방법 및 계획

- 고령화로 인한 경제 사회적 문제, 혹은 재난, 감염병 등 급작스러운 국가적 문제 해결에 대한 바이오 공학의 역할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 ICT와 바이오의 융합을 통해 현재 병원이 주로 감당하고 있는 국민 복지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원격 의료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거나 진단 및 예방 관리 중심의 패러다임을 구축하여 보다 많은 국민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동시에 암, 치매 등의 높은 비율로 국민이 앓고 있는 질병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 수행하여 극복방안을 마련하고, 치료가 가능한 질병에 대해서도 정밀 의료 모델을 구축하여 극복률을 높이는 등 지속적으로 의료분야에 기여한다.

- 기존 바이오 분야 뿐만 아니라 신바이오 및 뇌공학 관련 미래 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재활, 장애극복 등 사회복지적인 성과를 이룩한다. 해당 활동은 학교 내의 연구 활동뿐만 아니라 대형 병원과의 공동연구 강화 및 중개연구 시도, 중대형 연구센터 설립을 통한 협력 연구 강화, 바이오 의료 부분 대형,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과의 교류를 통한 산학 협력기반 마련 등을 그 계획으로 한다.

- 본 교육연구단은 병원과의 활발한 중개 임상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피드백을 통한 바이오의료기술의 실용화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신약 분야에서의 후보물질 발굴 연구 및 해외 진출을 위한 중개, 임상적 연구를 수행한다.

- 암, 치매 등 인류가 당면한 의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ICT 기반 연구를 BT와 접목하고, 3D 바이오 프린팅, 인공장기 개발, 줄기세포 등 임상에 다가가지 못한 분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대응한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밀 의료, 뇌과학 및 뇌공학적 응용, 차세대 의료기기 개발 등 새로운 시장에 대한 선점을 도모한다.

- 미세먼지 저감, 바이오 소재 등 환경 측면에서의 생활형 난제를 해결한다.

- 바이오 의료 분야 연구 성과를 기술 이전 뿐만 아니라 신산업 창출로 인한 창업, 기업 내 새로운 투자 거리 창조 등과 연결 지을 수 있도록 산업적인 면을 강화한 연구를 복합 수행한다.

- R&D 위주의 바이오 의료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에서 배출하는 인재를 즉시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함과 동시에 해당 인력이 가지고 있는 기술에 이전을 고려한 연구를 진행한다.

- 대학 주도 혹은 연구소, 병원, 기업, 스타트업 등 다른 기관과의 연합을 통해 연구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협력 기반을 만든다.

- 타 분야 및 기술과의 융합으로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의 신산업을 창출하고, 임상 의과학자, BT + ICT 전문가 등 융합역 전문인력을 육성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

- 필요할 경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 및 성장, 재투자를 위한 기반을 돕는다.

-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을 위해 바이오 의료 관련 빅데이터 기술 개발 및 표준화 등을 연구하여, 이를 통한 신 의료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한다.

- 바이오 의료 관련 핵심 장비, 부품, 재료 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분야의 수입 의존률을 낮춘다. 

<세부계획>

(2) 본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 문제 해결 연구 전략

미래바이오산업을 견인하는 요소기술 (IT, NT, CT)의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핵심 플랫폼기술 (바이오의료정보기술, 바이오의료기기 및 영상기술, 바이오의료재생기술)을 개발, 바이오의료 융복합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창의적이고 미래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한다.

아래와 같이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차별화된 세부연구목표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질을 끌어 올리고, 바이오 의료 및 뇌신경분야의 사회적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연구적 기반을 구축한다.

(3) 세부 분야를 고려한 연구적 산업, 사회 문제 해결 기여 계획

- IT와 BT의 융합을 통해 생명 시스템으로부터 유래되는 데이터 (DNA, RNA, protein 등 분자 및 세포, 개체 수준에서의 정보를 모두 포함)를 다양한 전략 및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개인별 맞춤의학, 신약개발, 뇌 질환 진단 및 치료 등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의학적 지식을 발굴한다.

- 단백질 등 생체물질과 관련한 모든 현상을 전산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물리/화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수학/전산학적 예측 가능 생명 모델을 개발한다.

-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 및 분석함으로써 치료제 및 고기능 생체물질 개발을 위한 설계를 진행하고, 단백질-단백질,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 등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신약개발연구에 기여한다.

- 바이오 시스템의 역공학(reverse engineering)적인 접근을 위해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및 다사체 정보 등을 연계하여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기반한 바이오마커 및 산업 미생물공학적 기술을 발굴한다.

- 생명물질에 대한 정보분석을 위한 데이터 클러스터링, 분류, 연관분석, 회로추론, 구조분석, 동역학 분석 기능을 갖춘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암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 고부가치 대사물질 합성을 위한 균공학에 기여한다.

- 분자 수준에서부터 시스템 수준에 이르는 생물정보를 분석하고, 실험검증을 통해 세포 내 기능 조절 네트워크의 특징을 밝혀냄으로써, 세포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 및 단백질을 고안한다.

- 세포의 신호전달경로, 조절네트워크, 동역학적인 분석에 대한 시스템생물학 연구를 통해 세포의 다양한 조절메커니즘을 시스템차원에서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세포의 증식, 사멸, 그리고 분화의 조절스위치를 제어한다.

- 신경계의 컴퓨터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뇌 질환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한다.

- 개인유전체,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등에서 나오는 여러 차원의 데이터를 토대로 생명 진화 등 기초 학문에서부터 의약개발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공헌할 수 있는 새로운 생물학적 지식 탐색을 수행한다.

- 기존의 영상 기법들의 한계를 극복하여 여태 보지 못했던 세포 및 장기들의 구조와 기능을 정량화 하고, 궁극적으로 질병을 이해하여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한다.

- 새로운 바이오의료 영상 기술 및 기기를 개발하여 생물학, 뇌과학, 임상연구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바이오 의료 분야의 발전을 도모한다.

- 현재 영상 기법으로 얻기 불가능한 수많은 의학적, 생물학적 문제에서 최신의 신호처리 기법과 수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공간 및 시간에서의 초고해상도 영상을 얻는 연구를 수행한다.

- 자기공명영상 (MRI), 근적외선 뇌촬영기 (NIRS), x-ray 단층 촬영(CT), 양전자촬영기 (PET) 및 테라헤르쯔 영상기법, 광학영상, 전자현미경 영상 기법 등에 필요한 고성능 3차원 복원 알고리듬 및 새로운 개념의 영상 장비 등을 직접 개발하여 의료 영상 기술의 발전에 기여한다.

- 대뇌의 정보처리과정을 이해하고 정신질환의 발병기저를 탐구하기 위해 patch-clamp method, local field potential recording, EEG, SPECT, fMRI 등 다양한 뇌 활동 영상장비를 이용, 하나의 신경세포에서부터 대뇌 전체의 신경망에 이르기까지 신경활동을 측정한다.

- 뇌에서 발생한 물리학적 데이터의 분석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대뇌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근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약물중독, 정신분열증, 수면 장애, 알츠하이머 치매 등에 대한 발병 원인규명 및 질병 치료 연구를 수행한다.

- NEMS/MEMS 기술을 응용한 국미세 바이오포토닉 소자 및 초소형 바이오 포토닉 진단, 이미징 및 치료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바이오포토닉센서, 바이오이미징 및 바이오포토닉 치료에 응용한다.

- 뇌의 고위 인지 기능의 작용기전, 행동에 대한 분석과 이들 기능의 손상 기전 분석에 따른 뇌 작동 기전의 이해를 위한 연구 및 고위 뇌 기능 손상시 이의 치료 및 조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뇌손상 환자들에 대한 임상연구에 활용한다.

- 바이오 및 나노 기술의 융합을 통해 진단 및 치료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개인 맞춤형 통합적 스마트 헬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 바이오진단센서 (단백질 칩, DNA 칩, 세포 칩, 장기 칩 등)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개개인의 질병/질환의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조직재생기술 및 장애개선기술을 통해 치료단계에서 요구되는 공학적 툴을 개발한다.

- 또한 치료이후에도 실시간으로 개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신체 내외부의 스마트 마이크로 시스템 (생체신호 모니터링 센서, 약물전달시스템, 임플란트 등) 관련기술을 개발한다.

- 나노기술과 마이크로시스템 기술을 적용시켜 생물학, 화학, 의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미세유체소자를 개발하고, 생물학적 시료전처리, 분리분석 및 초고감도 검출을 위한 나노바이오센서, 미세유체소자 및 랩온어칩 개발을 통해 해당 분야에 기여한다.

- 복잡한 질병의 조기 발견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실제 생물학적 체계들을 활용하여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생체적합적인 재료들을 개발한다.

- 생체내에서 안전한 나노재료들을 개발하고, 그 재료들과 생체내 마이크로환경들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하여 이러한 나노기술들을 악성 종양의 조기 발견,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활용한다.

- 자연의 형태형성과정을 응용하여 복잡한 형태를 자발적으로 만드는 시스템의 구현과 인공설계를 탐구하는 생체모방공학은 학문을 이용하여 생물의 발생 및 기능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들을 얻는다.

- 자연의 형태형성 방법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통해 생명체의 형태 형성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장기 또는 특정질환/질병 모델을 재현 할 수 있는 3차원 바이오플랫폼을 제작하여 기존의 조직공학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신경계의 메커니즘 파악 및 신경/정신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인 뇌공학 장비들을 개발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기여한다.

- 신경계 혹은 몸 속에 삽입되었을 때의 면역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한 생체적합성 물질을 이용하여 의료용 진단 및 치료기기를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통해 환자의 질병을 장기간 직접/간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개발하여 의료 분야에 기여한다.

3. 연구의 국제화 현황

3.1 참여교수의 국제화 현황

① 국제적 학술활동 참여 실적 및 현황

■ 최근 5년간 참여교수의 대표적 국제학회/학술대회 강연 실적

■ 최근 5년간 국제학회/학술대회 대학원생 수상 실적

■ 최근 5년간 참여교수의 국제학회/학술대회 좌장, 위원회 활동 실적

■ 최근 5년간 참여교수의 국제학술지 관련 활동 (편집위원 등)

■ 최근 5년간 참여교수의 국제저술 활동

2019 / 김철 / Academic Press / High-Density Integrated Electrocortical Neural Interfaces  / 9780128151150

② 국제 공동연구 실적

<표 3-6> 최근 5년간 국제 공동연구 실적

➂ 외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구자 교류 실적 및 계획

■ 최근 5년간 외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구자 교류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