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1.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실적

(1) 교육 철학 및 목표 달성 내용

(2) 강의 수행 실적

기존에 발전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DNA/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유전자 조합을 분석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컴퓨터상에서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구조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개발 및 교육에 중점을 두었음.

또한, 이로부터 특정 기능의 발현을 예측하여 이에 대응하는 약물의 구성과 효과를 제시하고, 원하는 기능을 발현시키는 염기서열의 패턴을 예측하는 기법에 관한 교육을 수행함.

DNA, RNA, 단백질, 생명체 기능으로 이어지는 유전자 정보는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며, 이런 데이터의 저장과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해 교육함.

시스템생물학은 생명체를 하나의 동역학 시스템으로 간주하고 생명현상을 지배하는 시스템 차원의 동작원리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학모델링, 컴퓨터 시뮬레이션, 그리고 생물학 실험을 융합하여 접근하는 융합학문이며, 최근 바이오정보 분야의 실용화에 빠질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이를 교육함.

바이오전자시스템은 생명과학과 전자공학의 융합 학문으로서, 생명체 신호 및 영상의 측정과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뇌신경계의 신호처리 메커니즘을 탐구하여, 이를 활용한 지능시스템 및 의료기술 개발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트임.

특히 뇌파와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MRI) 등 의료 신호와 영상의 측정 표시 및 분석기법과, 생명체의 시청각 및 인지 기능에 대한 뇌정보처리 메커니즘의 이해 및 수학적 모델, 그리고 이에 기반한 인간기능 소자와 시스템의 구현 기법을 중점 교육하였음.

또한 뇌파(EEG),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등 의료신호와 영상의 측정, 표시 및 분석, 인간의 시청각 및 인지 기능에 대한 뇌 정보 처리 메커니즘의 이해를 및 수학적 모델, 뇌정보처리를 모방한전자소자 및 인간기능 시스템에 관한 과목을 교육하였음.

바이오 물질 및 기능 구조체의 기계적 특성규명과 동작원리의 정량적 분석, 그리고 이들의 제어와 조작 기능과 생명현상 정보의 추출에 필요한 기전공학적 극미세 도구와 방법을 탐구하였음.

극미세 바이오 현상의 공학적 모델링과 기능모사, 그리고 이를 응용한 새로운 개념의 고기능 핵심소재, 생체 처리/조작 기능소자 및 바이오 기전복합시스템 창출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을 제공하였음.

관련 연구 분야로는 극미세 바이오 센서와 액추에이터, 나노바이오 소자 및 극미세기전집적시스템 (NEMS/MEMS)의 설계 및 해석, 소재 및 제조공정, 시험 및 측정 등이 있으며, 해당 관련기술의 응용개발에 중점을 두었음.

뇌신경공학은 뇌를 포함한 신경계의 기능과 행동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제반 공학기술을 연구하며 신경계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는 학제 간 융합학문임.

주요 연구 분야로는 신경인터페이스, 인공신경칩, 신경정보학 및 컴퓨터 모델링, 신경 정보처리, 신경조직공학, 인지공학, 바이오로보틱스 등을 포함하며, 신경 과학과 바이오공학을 융합한 다양한 교육 과목을 제공하였음. 또한 신경공학 연구를 통해 개발된 최신기술들의 응용방안: 신경정신질환 진단 및 치료, 인간 기능 향상 및 조절, 삶의 질 향상, 엔터테인먼트 등에 대해도 교육하였음.

현대 생물학, 의학의 흐름은 영상을 통한 발견의 방향으로 발전해 오고 있음. 바이오이미징 분야에서는 이를 위해 필요한 생물학적, 의학적인 새로운 영상기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본 교육연구단은 기존의 영상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교육과목들을 제공하였음.

특히 본 교육연구단에서는 자기공명영상(MRI), 엑스선(X-ray)/양전자단층촬영기(CT/PET), 근적외선 뇌영상 기법 (NIRS) 및 다양한 광학영상기법 등의 분야를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과목들을 개발하여 교육하고 있음. 

본 연구단에서 기간내에 운영한 전임교수 대학원 강의 실적은 아래와 같음 (2020.9.1.-2023.2.28.)

담당교수 / 과목번호 / 분반 / 과목명 / 영어강의 여부 / 수강인원

이승구 외 / BiS502 /  / 생물분석기술 /  / 18

이상아 / BiS529 /  / Neural Basis of Spatial Cognition / Y / 4

장무석 / BiS553 /  / Biophotonics / Y / 19

최명철 / BiS575 /  / Nanobiophysics / Y / 21

이수현 / BiS628 /  / Learning and Memory Systems / Y / 13

조영호 / BiS672 /  / 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 / Y / 4

박지호 / BiS773 /  / Nanotechnology in Medicine / Y / 12

김필남 / BiS800 / A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Cell and Tissue Engineering> / Y / 5

김철 / BiS800 / B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Biomedical Integrated System Design> / Y / 22

박영균 / BiS800 / C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Single-cell brain mapping> / Y / 6

정재승 / BiS525 /  / Brain Dynamics / Y / 6

박영균 / BiS526 /  / Methods in Neuroscience / Y / 42

최정균 / BiS531 /  / Genome Bioinformatics / Y / 32

김동섭 / BiS633 /  / Bio-Intelligence / Y / 8

박성홍 / BiS653 /  / 고급 자기공명영상 기법 / Y / 11

남윤기 / BiS752 /  / Neural Engineering / Y / 7

박성준 / BiS800 / A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Fundamentals of Multiscale Fabrication and Materials> / Y / 8

이영석 / BiS800 / B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Methods in Functional Genomics and Computational Molec> / Y / 11

이승구 외 / BiS502 /  / 생물분석기술 /  / 13

피오릴로 / BiS527 /  / Theory of Brain Function / Y / 4

장무석 / BiS553 /  / Biophotonics / Y / 17

최명철 / BiS575 /  / Nanobiophysics / Y / 14

이수현 / BiS628 /  / Learning and Memory Systems / Y / 18

이도헌 / BiS631 /  / Data Mining / Y / 17

백세범 / BiS652 /  / Human Visual Model / Y / 9

박지호 / BiS773 /  / Nanotechnology in Medicine / Y / 7

박제균 / BiS800 / A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Biosensor and Lab-on-a-chip> / Y / 4

예종철 / BiS800 / B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Machine Learning for Medical Image Analysis> / Y / 12

정재승 / BiS525 /  / Brain Dynamics / Y / 5

박영균 / BiS526 /  / Methods in Neuroscience / Y / 43

박제균 / BiS571 /  / BioElectroMechanics / Y / 15

김동섭 / BiS633 /  / Bio-Intelligence / Y / 15

남윤기 / BiS752 /  / Neural Engineering / Y / 5

이영석 / BiS800 / A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Methods in Functional Genomics and Computational> / Y / 7

박성준 / BiS800 / B  / Special Lecture in Bio and Brain engineering<Micro-nano Fabrication and Materials for Bio and Brai> / Y / 9

강태준 외 / BiS502 /  / 생물분석기술 /  / 21

피오릴로 / BiS527 /  / 뇌기능 이론 / Y / 5

장무석 / BiS553 /  / 바이오 포토닉스 / Y / 20

최명철 / BiS575 /  / 나노바이오 물리학 / Y / 11

이수현 / BiS628 /  / 학습과 기억시스템 / Y / 17

이도헌 / BiS732 /  / 바이오 네트워크 / Y / 6

박지호 / BiS773 /  / 의료나노기술 / Y / 9

김철 / BiS800 / A  / 바이오및뇌공학 특강<Biomedical Integrated System Design> / Y / 7

김필남 / BiS800 / B  / 바이오및뇌공학 특강<Cell and Tissue Engineering> / Y / 6

본 연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분야별 교과목 리스트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다음과 같음

(3)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실적

■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한 교과목 개발 및 강의 운영 실적

바이오 분야의 최신 동향에 대한 소개와 이에 대한 교과목 개발을 위하여 BiS800 Special Lectures in Bio & Brain Engineering 과목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다양한 연구 분야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였음.

지속적으로 신규 주제 강의를 추가하고 강의 운영을 통해 최근 연구동향, 신규 연구 분야 및 관련 첨단 신기술에 대한 소개와 융합기술에 관한 심층 토의를 전개하였음.

신규 강의 운영 후 주제에 대한 중요성이 높다고 평가될 경우 정규 교과목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속적으로 커리큘럼을 보완, 발전시키고 최신 연구 동향 반영을 도모하였음.

■ 국제화 및 산학연 연계 교육 운영 실적

해외 협약기관과 해외 겸직교수의 연구실에 학생을 파견하여 국제화 교육을 수행하였음. 공동연구 수행과 현지 과목을 수강하게 하고 학점을 인정함으로써, 졸업생들이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국제적 감각 및 소양을 갖게 되어 국제적인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음.

바이오-의료 융합분야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새로운 신기술의 도입이나 과학적/공학적 발견의 도래 등은 기존의 교과목 체계에서 수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산학연병 인스퍼레이션 강연 시리즈’를 통하여, 급변하는 학계와 산업계의 수요에 발맞추어 유연하게 적응 가능한 교육을 제공하였음. 또한 산학연 전문가, 국내 종합병원 MD 석학 초청 강연 및 런치 세미나를 통하여 헬스케어 산업 기술 동향을 파악하였음.

국가출연 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등)와 공동으로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였음. 21세기 생명의학 기반의 융합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의료공학 연구/교육자가 배출되어, 대학 연구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음.

바이오니아 등 국내 바이오벤처 회사에서 현장 실습 교육을 실시하고 실무자들의 특강을 수강하도록 하였음. 융합기술의 지식 위에 산업조직력과 응용력, 창조력을 갖춘 연구자가 배출되어 융합산업을 리드하도록 유도하였음.

(4) 학사관리 운영 실적

강의 평가 운영 실적

과목별 강의 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의견을 웹에서 즉시 볼 수 있도록 하여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였음.

강의 평가 결과를 학과(전공)에 통보하여 교수법의 개선유도 및 교원인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음.

매년 우수 강의과목에 대하여 우수 강의상을 실시하였음.

학기말 뿐 아니라 중간 강의 평가를 시행하여 중간에 수강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음.

강의 평가 결과에 따라서 매년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교수에게 학과 우수 강의상을 수여하였음

■ 학사관리제도 운영 실적

체계적으로 확립된 입학전형, 지도교수 선정, 자격시험, 논문심사 위원회 구성, 학위수여 요건, 학석 및 석박 연계과정 등을 통하여 우수한 학생을 확보하고 배출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운영하였음.

본 교육연구단의 대학원 입학전형은 1단계 서류심사 및 2단계 면접심사를 통해 이루어짐. 1단계 서류심사에서는 영어성적을 포함하는 제출 서류를 중심으로 장차 고급 과학기술자로서의 잠재력 및 장래성을 평가하엿음.

우수성 입증자료로서 경력증명서, 발표된 논문, 특허 등 지적재산권 사본, 각종 수상 증빙서류, 전공 관련 작품(S/W 또는 H/W)이나 입증할 수 있는 자료, 기타 활동경력 증빙자료(리더십, 사회봉사관련 자료 포함) 및 지도교수 추천서, GMAT CAT, GRE 성적표, 기타 지원자의 실적과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평가하였음.

2단계 면접심사에서는 전문성, 인성, 과외활동실적 등을 평가함. 면접심사위원은 지원자에 대한 면접 실시 후 각 항목의 중요도 및 평가점수분포 등을 감안하여 󰡒면접심사평가서󰡓의 󰡒면접심사평가 점수란󰡓에 󰡒1-10󰡓 점수 중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점수를 부여하였음.

위원별 면접심사 종합평가점수는 최고점수와 최저점수 각각 하나씩을 제외하여 산술처리한 후 100을 곱하여 면접심사 최종평가점수를 산출하였음.

1지망 학과의 불합격자 가운데 2지망 지원자가 있는 경우 지원자 입학서류, 서류심사 성적, 면접성적, 순위 등이 기재된 평가서를 2지망 학과로 송부하였음. (2지망 지원자에 대한 심사는 1차(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1지망 지원학과에 최종 불합격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심사하는 것이며, 1차(서류전형 불합격자는 2지망 지원학과 심사대상자가 아님.)

석사 신입생들의 지도교수 선정은 2회에 걸쳐 시행하는데, 개인별 희망 지도교수 면담 및 연구실 방문을 마친 후 각 신입생별로 1, 2 지망 교수의 이름을 작성하여 신청하며 1차에서 지도교수가 선정되지 못한 학생들의 2차 신청을 받아 지도교수를 선정하였음.

석사학위 논문심사 위원회는 위원장(지도교수) 포함 3인으로 구성되며, 학위논문계획서를 작성하여 입학 후 10개월 이내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 제출하며, 5월말 (8월 졸업자), 12월초 (2월 졸업자)에 심사를 시행하였음.

박사과정 자격시험은 입학 후 1년 6월 이내에 한하여 응시할 수 있는데, 서류전형에서는 학업성적, 학위 논문추진계획서, 우수성 입증자료에 기반을 둔 기타 연구수행능력을 심사하며 면접에서는 전문지식과 인성평가 등을 심사하였음.

박사학위 논문심사 위원회는 위원장(지도교수)외 4인으로 구성되는데, 학과교수 4인 + 타학과 교수 1인, 학과교수 3인 + 타학과 교수 2인, 학과교수 4인 + 외부 전문가 1인, 학과교수 3인 + 외부 전문가 2인, 학과교수 3인 + 타학과 1인 + 외부 전문가 1인 중 한 가지 형태로 하여 공정성을 기하였음.

박사과정 논문예비심사는 박사과정에 입학한 후 2년 이내에 학위논문 계획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여 박사학위 논문심사 위원회에 제출하고, 이에 대한 구두시험을 통과하도록 하였음.

박사과정 학위논문심사는 5월말 (8월 졸업자), 11월말 (2월 졸업자)에 시행하며 이를 위한 박사학위 청구논문은 4월과 10월에 각각 제출하여야 하며, 심사 15일전까지 학위청구논문심사요청서, 해외학술지 논문 표지 포함 3~4장 등 필요서류를 제출하고, 심사 후 7일 이내에 학술지 게재발표 증빙서류나 게재승인 letter, 박사학위수여 심사결과 및 종합시험 결과보고서, 논문심사요지 5매 (심사위원장 1, 해당학과 위원 2, 타학과/외부인사), 전공분야 상위 10%이상 SCI 저널 증빙서류, 공저기여도 의견서 등을 제출하여야 함.

각 전공분야에서 인정하는 우수 국제학술지 (전체 SCI급 저널 중 해당분야에서 상위 10% 안에 드는 학술지)에 주저자 (제 1저자 혹은 교신저자)로 참여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연구업적을 발표한 자나 특별한 사유가 인정되는 자에게 박사학위를 수여하도록 규정하였음.

학과의 학사운영 내규는 제도화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자료집이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음.

학석사 연계과정: 학사과정 재학 중에 학석사 연계과정 시험에 응시하여, 이 시험에 통과되면, 석사 교과과정의 일부를 미리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학석사 수학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음. 이 학석사 연계과정을 선택하고 합격한 학생은 별도의 석사과정 입학시험 없이 석사과정에 입학하게 됨. 단, 각 과정별로 이수해야할 학점은 동일함.

석박사 연계과정: 석사과정 재학 중에 석박사 연계과정 시험에 응시하여, 시험에 통과되면 박사 교과 과정의 일부를 미리 이수할 수 있고, 별도로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됨. 석박사 연계과정을 선택하고 합격한 학생은 별도의 박사과정 입학시험 없이 박사과정에 입학하게 되어 심화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음. 단 이런 연계 과정을 선택하여도 앞에서 정한 과정별로 이수해야할 학점은 동일함.

(5) 교육과 연구 연계구조 구축

응용생명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국내의 최초의 바이오및뇌공학과로서 대학원 커리큘럼을 세우고, 연구를 통해 발견된 사실을 새로운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였음.

바이오 공학 분야의 빠른 발달 속도를 기존의 교과목 형식만으로 전달함에 한계가 있을 수 있기에, 각 분야의 선도 연구자를 초청한 세미나 혹은 본 교육연구단 소속 교수의 지도하에 학생들 간의 세미나를 개최하여 최신 연구 기술을 교육으로 활용하였음.

연사 초청을 통해 바이오정보/리더쉽, 뇌인지융합, 바이오나노, 바이오영상 분야의 연구에 대해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각 분야별 세미나 발표 연사와 포스트들은 아래와 같음.

바이오정보/리더쉽: Gabriel Kreiman교수(Harvard Medical School), 김용민총장(포스텍), Dr. Joel Leibo(Google DeepMind) 외 11명

뇌인지융합: Christopher Summerfield(Oxford Univ), 김용휘교수(서울대의대), 이대열교수(Johns Hopkins Univ) 외 21명

바이오나노: 오우택소장(KIST), Gabe Kwong(Georgia Tech), Michael Sailor교수(UCSD) 외 17명

바이오영상: 방원철상무(삼성전자), Zhi-Pei Liang교수(UIUC), 서준범교수(울산의대) 외 6명 

석사/박사 과정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바이오-의료 융합 분야 세미나를 조직하였음. 세미나 조직 그룹, 발표자 그룹, 진행 그룹, 패널리스트 그룹으로 학생들의 역할을 분담하여 학생들이 바이오-융합 분야 세미나에 필요한 과정을 직접 수행하며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토의을 진행하였음.

본 교육연구단이 추구하는 바이오-융합 인재상은 학제 간 소통 능력에 그 근간을 두고 있음. 본 교육연구단은 연구 전문성이 바이오 정보, 바이오 나노, 바이오 전기/전자, 바이오 이미징 분야 등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음. 바이오퓨전 세미나는 서로 다른 전문 분야의 학생들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최신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세미나를 조직하는 과정에서 학제 간 소통의 중요성과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토론형 교육 프로그래임. 해당 바이오퓨전 세미나를 통해 학생들의 연구 분야 역시 소개되며 이를 통해 학생 중심의 융합 연구 주제 발굴 및 바이오융합 문제 해결의 기회를 마련하였음.

매학기 약 60명의 학생들이 참석하며 기성 연구자의 학술대회와 같은 양식으로 세미나 세션을 진행하고 이어서 학생 패널을 중심으로 토의 세션을 진행하였음. 매학기 바이오 나노 소재, 바이오 전기전자, 바이오 이미징, 신경과학 등의 넓은 범위의 주제들이 10개 내외로 다루었으며, 생물과 공학의 접점이라는 큰 주제 안에서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과 기술적 발전 측면에서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하였음.

응용생명에 적합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다양한 주제의 연구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특히, 바이오-의료 융합분야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각 연구 분야별 다양한 융합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 새로운 신기술의 도입이나 과학적/공학적 발견의 도래 등은 기존의 교과목 체계에서 수용하기가 어려우므로, 학기 중 매주 수요일 본 교육연구단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분야의 선도 연구자들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함으로, 급변하는 학계와 산업계의 수요에 발맞추어 유연하게 적응 가능한 교육을 제공하였음. 연사들의 세미나 발표주제는 본 교육연구단 대학원생들의 연구에 영감을 줄 수 있는 주제로 선정되었으며, 세미나 후 질의 응답시간으로 해당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와 학술적 토론을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음. 세미나에는 모든 학생들이 참석가능하며, 평균 50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가하여 연사와 토론의 기회를 가짐.

최신 연구 기술을 교육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분야의 선도 연구자 초청 세미나 개최하였고, 최신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세미나를 조직하는 과정에서 학제 간 소통의 중요성과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토론형 교육 프로그램인 석사/박사 과정 학생들이 중심의 바이오-의료 융합 분야 세미나를 조직하였음.

1.2 과학기술·산업·사회 문제 해결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구성 및 운영 실적

현 과학기술, 산업, 사회가 가지는 문제들을 주제로 하는 KAIST Bio-IT Healthcare Initiative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3개의 심포지움을 Precision Electromedicine, The Future of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s, The Neural Basis of Cognition의 주제로 개최하였음.

관련분야 전문가 발표를 통한 교육에 더하여, 각 대학원생의 연구주제를 토론의 기회 제공을 통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추후 해당 더 다양한 과학기술, 산업, 사회의 문제를 주제로 심포지움을 개최할 예정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과학기술, 산업, 사회 문제 해결에 학술 토론의 장을 열기위해, 앞의 주제에 대한 virtual conference 등을 기획하였음.

다양한 과학기술, 산업, 사회 문제의 심포지움 개최 실적

No. 날짜 / 행사명 / 연사 / 소속 / 연제

분야별 특별 학술 세미나 시리즈 및 학술 교류 워크샵 운영. 바이오 융합 분야의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한 시의 적절한 교육을 위해 학과 정기세미나 외에 연구 분야별 특별 세미나 시리즈를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최신의 연구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정기 및 특별 세미나 개최 실적

No. 날짜 / 연사 / 소속 직급 / 연제

세계 유수 대학, 연구기관들과 공동 워크샵 개최를 통해 국제적인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글로벌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기회를 마련하였음.

해외우수 신진연구자 세미나 초청 실적

No. 날짜 / 성명 / 소속 / 연구분야

2. 인력양성 현황 및 지원 실적

2.1 평가 대상 기간 대학원생 인력 확보 및 배출 실적

<표 2-1> 교육연구단 참여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내용보기)

2.2 교육연구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실적

 KAIST 출신 학생뿐만 아닌 국내외 여러 대학의 바이오 융합분야에 관심있는 우수한 학부생들을 유치하고자 현재 다양한 대외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향후 교육연구단 수준에서 확대 운영할 예정임.

-2022 KAIST Bio&Brain Engineering TrYBBE 프로그램 운영 : 타대학부생대상 동계연구인턴쉽프로그램 10명선발. 2023년 현재 홍보 진행 중.

-2022년 프로그램 참여현황

No. 학교명 / 학년 / 지도교수 / 연구실명


본 학과의 학부생들에게 대학원을 소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매년 운영되고 있는 Bio & Brain Night Open Lab 행사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향후 이를 본 학과 뿐 아니라 타학과의 학부생들, 무학과 학생들 (KAIST 1학년)에게도 개방하여 우수한 대학원생을 확보하고 있음.

KAIST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바이오공학의 이해󰡑 교과목을, KAIST가 자랑하는 온라인 동영상 강좌 및 오프라인 토의 시스템 (Edu3 교육시스템)을 토대로, 학과의 각 분야 교수들이 참여하여 바이오정보, 바이오전자, 바이오나노 분야를 신입생들에게 다양한 동영상 및 읽기 자료들을 통하여 소개하고, 흥미로운 자유토론 주제와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참여와 질의응답을 통한 교수진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운영하였음.

Facebook (http://www.facebook.com/kaistbioeng)을 통하여 학과의 여러 행사와 소식을 대내외적으로 공유하고 홍보하고 있으며, 젊은 층이 주로 사용하는 SNS를 적극 활용하여 교육연구단 홍보를 진행하였음. 학과 홈페이지 내 BBE ON 게시판(https://bioeng.kaist.ac.kr/index.php?mid=video_board) 신설을 통해 연구실 소개 등도 진행하였음

생활적으로도 학생 간 소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였음: CA 간담회, 학년별 간담회, 국제의료기기박람회 탐방, 명랑운동회, 진입생환영회, 오리엔테이션 등

학생들이 편안하게 다양한 교육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음: 양분순 C-space, 정문술 로비, 양분순 3층 공간 등

2.3 참여대학원생 취(창)업 현황 

① 취(창)업률

<표 2-2> 평가 대상 기간(2020.9.1.-2023.2.28.) 내 졸업한 참여대학원생 취(창)업률 실적 (내용보기)

② 참여대학원생 취(창)업의 질적 우수성 (평가 대상 기간)

<표 2-3> 평가 대상 기간(2020.9.1.-2023.2.28.) 내 졸업한 참여대학원생 중 취(창)업의 질적 우수성

3. 대학원생 연구역량

3.1 참여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➀ 참여대학원생 대표연구업적물의 우수성

<표 2-4> 평가 대상 기간(2020.9.1.-2023.2.28.) 내 참여대학원생 대표연구업적물 

② 참여대학원생 학술대회 대표실적의 우수성

<표 2-5> 참여대학원생 학술대회 발표실적의 우수성

➂ 참여대학원생 특허, 기술이전, 창업 실적의 우수성

<표 2-6> 참여대학원생 특허, 기술이전, 창업 등 실적

3.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 실적

 ■ 연구 참여와 교과목의 연계

○ 자기 주도적 연구 참여의 활성화

-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들 자기 주도적 연구 참여 환경 구축을 위해, 연구 프로젝트 참여 및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교과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학점 제도를 운영하였음.

- 현재 학과에서 운영되는 학위심사 제도(석사학위 심사, 박사자격시험, 박사학위 예비심사 및 최종심사)에서 박사학위 예비심사를 2년 이내에 통과하는 것을 필수사항으로 개편, 모든 참여 대학원생들이 학위과정 초반부터 한 가지 이상의 연구 프로젝트를 계획성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심사 피드백을 반영하였음.

특히, 예비심사에서 학위 논문 청구 심사 형식의 기초 슬라이드 발표를 진행함으로써 저년차부터 한가지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체계화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였음.

○ 연구와 교과목의 연계 운영

- 연구 교과목을 기반으로 발전시켜 관련 지식습득과 연구 진행이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였음

- 연구의 결과물을 논문으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이 연구결과를 양질의 논문으로 완성하며 성공적으로 국내저널/국제저널/학회 등에 발표하도록 함.

■ 연구 교류 프로그램

○ 융합 공동 연구 지원

- 학과 내 바이오를 중심으로 하는 바이오정보, 시스템생물, 바이오전자, 바이오나노 및 마이크로시스템, 뇌과학 및 신경공학, 바이오이미징 등 여러 분야의 교수진과 연구진을 기반으로 두 가지 이상의 분야를 융합시켜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추진하고자 함. 학과에서는 이미 바이오퓨전 세미나 등의 교과목을 운영함으로써, 두 가지 이상의 분야가 하나의 주제로 연결되어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 여러 분야의 참여 대학원생들이 수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오픈 공간을 만들어 학생들 간 연구 교류 환경을 조성하였음.

○ 연구 교류 프로그램 개발

- 학과에서는 다양한 주제로 하는 심포지움을 개최하면서, 바이오정보/시스템생물, 바이오전자, 바이오나노/마이크로시스템, 뇌과학/신경공학, 바이오이미징 등 각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명성있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할 뿐 아니라 대학원생들이 연구주제를 전문가들과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경험을 청취하고 연구방법을 배움으로써 새로운 연구 시도를 할 수 있는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였음. 지속적이며 활발한 교류를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웨비나, Virutal Conference 등을 진행함

다양한 주제의 심포지움 개최

No. 날짜 / 심포지움

■ 산업체 및 병원과 연구의 연계 운영

○ 산학연병(산업체-학교-연구소-병원) 인스퍼레이션 강연 시리즈

- 각 분야별 학과, 학교 내 교수 뿐 아니라 산업계 의료계 인사 등을 초청하여 바이오의료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관련 산업계 최신 동향 등을 지속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대학원 과정 강좌,‘산학연병(산업체-학교-연구소-병원) 인스퍼레이션 강연 시리즈’를 운영하고, 공동연구 주제를 발굴하였음.

산학연병 인스퍼레이션 강연 시리즈

No. 날짜 / 연사 / 직급 / 소속 / 연제

4. 신진연구인력 운용

4.1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실적

<표 2-7> 교육연구단 신진연구인력 현황  (내용보기)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실적

바이오 융복합 IBN (IT-BT-NT) 펠로우십 운영 (우수인력 확보)

○ 생물학 및 의학과 정보, 전자, 나노 공학이 다학제적으로 융합된 바이오공학 분야를 국제적으로 선도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는 본 사업의 취지에 맞는 박사후연구원 및 계약교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음.

○ 2020.09.01.-2023.02.28. 내 활용한 신진연구인력은 박사후 경력에 따라 아래 4가지 트랙으로 구분할 수 있음.

IBN PhD fellow (track 1 / 박사학위 취득 1년 이내의 박사급 인력)

활용기간: 2021.06.01.–2022.05.31 (12개월)

성명: 고*석

박사학위: **대학교 (2020)

연구분야: 나노광학, 광학이미징

주요 실적

-(제1) “Deep tissue space-gated microscopy via acousto-optic interaction”, Nature Communications, 11, 710 (2020).

-(2018, 구두) “High-Resolution Optical Imaging Deep inside Scattering Medium with Spatial Gating by Focused Ultrasound”, Focus on Microscopy 2018, March 25-28, 2018, Singapore.


활용기간: 2022.03.01.–2023.02.28 (12개월)

성명: 김*

박사학위: **대학교 (2021)

연구분야: 뇌인지과학

주요 실적

-(제1) Unbalanced fronto-pallidal neurocircuit underlying set shift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rain, 2022. 145(3)

-(제2) Intrinsic cerebellar functional connectivity of social cognition and theory of mind in first-episode psychosis patients. npj Schizophrenia, 2021. 7(59), pp.1-7

-(제1) Reward and state prediction error signals in cortico-striatal circuitr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30th Annual Computational Neuroscience Meeting. 2021

-(제1) Neural arbitrator dysfunction forming excessive habitual action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27th Annual Meeting of the Organization for Human Brain Mapping. 2021


활용기간: 2022.03.01.–2023.02.28 (12개월)

성명: 이*

박사학위: **기술원(2022)

연구분야: 나노바이오공학

주요 실적

-(제1) Tubulin-Based Nanotubes as Delivery Platform for Microtubule-Targeting Agents. Adv. Mater. 2020, 32, 2002902. (Front Cover of the issue)

-(제1) Tubulin Double Helix: Lateral and Longitudinal Curvature Changes of Tubulin Protofilament. Small 2020, 2001240. (Back Cover of the issue)

-(제1) Tubulin-based Nanotub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s Drug Delivery Carrier, Synchrotron Radiat. Sci. and Tech. 2021, 28, 1.

IBN scholar (track 2 / 박사학위 취득 2년이내의 박사급 인력 또는 IBN PhD fellow 1년이상 재직자)

활용기간: 2022.06.01.–2023.02.28 (9개월)

성명: 고*

박사학위: **대학교 (2020)

연구분야: 나노광학, 광학이미징

주요 실적

-(제1) “Acousto-optic volumetric gating for reflection-mode deep optical imaging within a scattering medium”, ACS Photonics, Submitted on 27 Oct 2022, 10.48550/arXiv.2211.02462 Focus to learn more

-(과제수주) 2022년도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사업 과제 수주, “초음파와 광기술의 융합을 통한 생체조직 초고심도 광에너지 제어 기술 개발”, (20220601 – 20250531)


IBN research faculty (track 3 / 박사학위 취득 3년이내의 박사급 인력)

활용기간: 2020.12.01.–2021.11.30 (12개월)

성명: 이*

박사학위: **기술원(2018)

연구분야: 생물정보학

주요 실적

-(제1)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intronic mis-splicing mutations in human cancers. Oncogene 2021;40(7):1347-1361

-(제1) Accelerated Evolution of the Regulatory Sequences of Brain Development in the Human Genome. Mol. Cells 2020;43:331-339.

-(제1) Selection on the regulation of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 humans and chimpanzees. PLoS Genet. 2018 Apr 19;14(4): e1007311. doi: 10.1371/journal.pgen.1007311.

-(연구수행) 창의·도전연구기반 연구지원사업, 2020.06~2022.05, 연구책임자

IBN MD faculty (track 4 / 의학박사학위 및 전문의 취득자)

활용기간: 2021.07.01.–2023.02.28 (20개월)

성명: HE** ADI**

박사학위: University of Gro** (2012) / M.D. UNIVERSITAS GA** MA**(2005)

연구분야: Biomedical Imaging

주요 실적

-(First(joint)) Changes in cortical grey matter density associated with long-standing retinal visual field defects., Brain 132.7, 2009

-(First) Automated morphometry of the visual pathway in primary open-angle glaucoma.,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2(5), 2011

-(First) Morphometric analyses of the visual pathways in macular degeneration. , Cortex, 56, 2014

-(International Oral) Cerebellar Cortex and Cognition Follow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 World Federation of Neurosurgical Societies, 2018

-(Domestic Lecture) Computational anatomy of the brain and neuroscience, Academic Environment Development, 2020

-(Patent) Quantification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UM.TNC2/UMCIC/603/1287 –Malaysia

-(Project) Epilepsy Surgery - Surgical Planning, Outcome, And Quality of Life Study , University of Malaya Research Grant , 2017-2020

-(book) MU KESEHATAN MATA ("Ophthalmology") - ISBN 9789791719414 - Gadjah Mada University Press, Yogyakarta 2008

-(Award) Tsutsui-Fujino Prize winner (2012) as Asia's promising neuro-ophthalmologic investigator

-(Award) Yasuo Tano Grant awardee (2013) as best papers in ophthalmologic study

바이오 융복합 IBN 플래그쉽 프로젝트 운영 (우수인력 양성)

○ 안정적 학술 및 연구 활동을 위한 제도 운영 현황

- 신진연구인력의 연구활동의 지속성을 위해 연구단 지원기간을 기본적으로 1년으로 하고, 추가지원이 필요한 경우 연장지원 하였음.

- 1-2차년도에는 참여교수에게 국제화경비 및 연구활동비(실험실습 재료비 등)를 지원함으로써 신진연구인력의 연구활동 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었음.

○ 바이오 융복합 우수인력 양성 사업을 통해 도출한 연구성과

저널논문 게재

Oncogene / Comprehensive characterisation of intronic mis-splicing mutations in human cancers / 2021.02 / 10.1038/s41388-020-01614-3 / 1저자 / 8.756

BRAIN / Unbalanced fronto-pallidal neurocircuit /  underlying set shift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2022.03 / 10.1093/brain/awab483 / 1저자 / 15.255

Schizophrenia Bulletin / Large-Scale Thalamocortical Triple Network Dysconnectivities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and Individuals at Risk for Psychosis /  / 2022.12 (epub ahead) / 10.1093/schbul/sbac174 / 공동 / 7.348

Psychological Medicine / Cortical gyrification differences between early- and late-onse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neurobiological evidence for neurodevelopmentally distinct subtypes / 2022.10(epub ahead) / 10.1017/S0033291722003129 / 공동 / 10.592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 Associations of medication with subcortical morphology across the lifespan in OCD: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ENIGMA Consortium / 2022.12 / 10.1016/j.jad.2022.08.084 / 공동 / 6.533

Psychiatry Investigation / Triple-Network Dysconnectivity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and Individuals at Clinical High Risk for Psychosis / 2022.12 / 10.30773/pi.2022.0091 / 공동 / 3.202

ACS Photonics / Acousto-optic volumetric gating for reflection-mode deep optical imaging within a scattering medium / 심사중 / 10.48550/arXiv.2211.02462 / Focus to learn more / 1저자 / 7.077

학술대회발표

Neuroscience 2022Fronto-striatal decoupling during arbitration between goal-directed and habitual decision-mak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20221115미국, 샌프란시스코

2022년 제14회 대한퇴행성신경질환학회Human Microtubule Phase Transition Under Ionic Rgulation20220924대한민국

한국물리학회 2022 Fall MeetingMicrotubule Structural Configuration and Flexural Rigidity Modulated by Anti-Cancer Drugs *우수발표상 수상20221018대한민국

34차 방사광이용자연구발표회Microtubule Surface Lattice and Bending Stiffness Regulated by Chemotherapeutic Agents20221117대한민국

34차 방사광이용자연구발표회Microtubule Structures under shear environment20221117대한민국

연구과제 수주 실적

2022년도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초음파와 광기술의 융합을 통한 생체조직 초고심도 광에너지 제어 기술 개발 / 20220601 - 20250531 / 연구재단 / 연구책임, / 총 3년

산업체 연구개발사업 / 뇌모사 인공지능 기술 기반 고위수분 인지기능 모니터링 및 훈련기술 / 20221201 - 20231130 / **전자 / 공동

기타 학술활동

학술지 / 편집위원 / Frontiers in Psychiatry 학술지 Review Editor (Neuroimaging) 활동 / 2022.09~현재

학술지 / 리뷰어 / Frontiers in Psychiatry 학술지 논문 리뷰 / 2023.01

학술지 / 리뷰어 / BMC Psychiatry 학술지 논문 리뷰 / 2022.09

학회 / 세션 좌장 / 한국인공지능학회Workshop on Human-like Artificial Intelligence 세션 좌장 / 2022.08

BIO-IT 국내/해외 허브 네트워크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

○ 국내 유수기관 및 해외 우수 인력을 IBN 펠로우십으로 유치하기 위해 국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음.

첫째, 학과의 Bio-IT 국제화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 해외 유수대학의 최근 박사학위 수여자 초청 세미나 진행하고 공동연구주제를 발굴함.

둘째, 학과 혁신 국제화 사업 (Healthcare/Brain+ G-Network 강화 사업)과 연계, MOU 체결관계에 앴는 해외 BME 학과 및 해외 TOP 10 BME 글로벌대학 학과를 통해 우수 졸업생을 발굴함.

셋째, 학과 혁신 국제화 사업 (Healthcare/Brain+ G-Network 강화 사업)과 연계, TOP BME 연구그룹과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및 신진연구자 간담회를 위한 국제공동워크샵을 개최함.

② 우수 신진연구인력의 대표 연구 실적

<표 2-8> 평가 대상 기간(2020.9.1.-2023.2.28.) 내 신진연구인력 대표 연구 실적

5. 참여교수의 교육역량

5.1 참여교수의 교육역량 대표실적

<표 2-9> 교육연구단 참여교수의 교육역량 대표실적

6. 교육의 국제화 전략

6.1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실적

➀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실적

■ 외국 연구소 및 대학과의 인적 교류 현황

본 교육연구단은 아시아권 다섯 대학, 유럽권 두 대학, 및 미국 두 대학과 MOU를 체결하고, 글로벌 우수 대학과 대학원 공동학위제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 추진에 앞서 매년 공동워크샵을 개최하여 글로벌 우수 대학의 선진적 바이오공학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이는 바이오공학 산업기술이 필요한 시장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함. 이러한 교육과정 국제화는 현 바이오공학 교육의 국제적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국제적 지식의 기준을 세우고자 하였음.

현재 본 교육연구단과 MOU를 체결하고 있는 글로벌 우수 대학은 아래와 같음.

유럽 : 영국 Leeds 대학교, The Faculty of Engineering (2017.02.16.)

스위스취리히연방공대(ETHZ), Department of Bio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2019.11.1)

아시아: 국립대만대학교 (NTU),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2016.10.04.)

베이징대학교, Center for Data Science in Health and Medicine (2016.12.28)

싱가포르 국립대 (NUS),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2017.10.15.)

중국 심천과기대(SIAT), Institute of Biomedical & Health Engineering (IBHE) (2017.06.16.)

상하이교통대(SJTU), School of Biomedical Engineering (2018.10.18)

북미: 미국 조지아공대 (Georgia Tech) 의공학과 / 에모리대학(2014.12.18.)

미국 UC Irvin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2017.08.04)


국제공동워크샵 개최 현황


■ 해외석학 초빙 및 활용 현황

본 교육연구단은 지난 2.5년간 대학원생들에게 최신 글로벌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국제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바이오공학 각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18명의 해외석학을 초빙하여 초청세미나를 개최하였음. 이는 해외석학과 본 교육연구단 참여교수간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본 교육연구단 대학원생들이 해외석학 연구실을 방문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공동 지도교수 및 학위논문 심사위원으로 초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또한 도서관에서 개최한 SpringerNature Editor-in-Chief, Sir Philip Campbell 강연(2023.2.20.)-Societal challenges 강연과 Nature 저널 투고 Q&A-에 참여함으로써 본 교육연구단의 최신 연구결과가 바이오공학 관련 국제저명학술지에 많이 발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음.

해외석학 초빙 현황 (2020.09.1.-2023.02.28.)

2021.봄

1. 유담 / Professor / NUS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2. Ben Seymour / Professor / University of Ozford Institute for BME; Dept. of Clinical Neuroscience

3. 신재원 / Professor /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ollege of Medicine

2021.가을

4. Bruno Averbeck / Section Head / US NIMH/NIH

5. 최두섭 / Professor /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and Science

6. Morris Mscovitch / Professor / University of Toronto

7. Casey Greene / Professor / University of Coorado School of Medicine

8. Ain Chung / Ph.D / Center for Neural Science, New York University

9. Surl-Hee Ahn / Ph.D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22.봄

10. 이정훈 / Professor / Dept. Radiation Oncology & Molecular Radiation Sciences, Johns Hopkins University

11. Hongwei Dong / Professor / Dept. Neurobiology, UCLA 

12. Okihide Hikosaka / Ph.D. / National Eye Institute(NEI),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3. Deokgun Park / Professor /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4. Jaeyoun Kim / Professor / Dept. Electrical & Computer Engineering, Iowa State University

15. Shadi A. Dayeh / Professor / Dept.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UC San Diego

2022.가을

16. Andrea Tacchetti / Ph.D. / DeepMind 

17. Tristan Geiler / Ph.D. / Columbia University

18. Inwha Baek / Ph.D. / The Rockefeller University

■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현황

본 교육연구단의 글로벌 대학원 교육을 실현하고 우수한 인재를 해외로부터 확보하기 위하여 그동안 중국, 미국, 베트남, 에티오피아,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들로부터 온 16명의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과 프랑스, 덴마크, 스페인, 이탈리아 등 국가들로부터 방문한 7명의 대학원 교환학생을 유치하였고, 앞으로도 더욱 우수한 외국인 학생을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일 예정임. 특히, 전략적으로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 국가들로부터 우수한 학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HUST, SJTU와 같은 우수 대학과 공동워크샵을 개최하여 본 교육연구단의 대학원 프로그램을 소개하였음. 이와 더불어 본 교육연구단에서는 차별적인 글로벌 교육 및 연구 과정을 제공하고 외국인 친화적 연구실 문화 환경을 조성하여 우수한 외국인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하였다,

외국인학생 유치 실적 (2020.09.1.-2023.02.28.)

2020.가을

1. 석사과정 / 졸업(2023/02/26) / 에티오피아 

2. 박사과정 / 재학 / 파키스탄

3. 박사과정 / 재학 / 중국

4. 박사과정 / 재학 / 체코

2021.봄

5. 석사과정 / 졸업(2023/02/26) / 핀란드

6. 석사과정 / 졸업(2022/08/28) / 베트남

7. 석사과정 / 졸업(2023/02/26) / 중국

2021.가을

8. 석사과정 / 재학 / 인도네시아

9. 석사과정 / 재학 / 베트남

10. 석사과정 / 재학 / 중국

11. 박사과정 / 재학 / 미국

12. 박사과정 / 재학 / 중국

13. 박사과정 / 재학 / 미국

14. 박사과정 / 재학 / 에티오피아

15. 박사과정 / 재학 / 러시아

2022.가을

16. 석사과정 / 재학 / 태국

외국인 교환학생 및 인턴 유치실적 (2020.09.1.-2023.02.28.)

2021.가을

1. 석사과정 / 프랑스 /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 파견종료

2022.봄

2. 석사과정 / 이탈리아 / University of Trento / 파견종료

3. 석사과정 / 프랑스 / Sorbonne University / 파견종료

4. 석사과정 / 덴마크 /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 파견종료

5. 석사과정 / 스페인 / University of Trento / 파견종료

2022.가을

6. 석사과정 / 프랑스 / IMT Atlantique - Brest campus / 파견종료

7. 박사과정 / 미국 /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 재학

해외 소개 활동 및 외국인 친화적 연구실 문화 환경 조성 활동

- 2020. 가을 /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학과 추석 행사 / 매년 추석을 앞두고 외국인학생들과 함께하는 외국인 학생간담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도 추석을 맞이하여, 간담회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개별적으로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선물을 전달하였음.

■ 글로벌 교육 인프라 현황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현재 본 교육연구단의 전임교수의 대학원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고 있음. 2022학년 2학기말 기준 23명의 전임교수 중 외국인 전임교수는 1명이고, 2023학년 1학기에 2명의 외국인교수가 부임예정임. 앞으로도 외국인 전임교수를 더 확보하기 위해서 상시 채용 공고를 시행하고 있음. 또한 우수 외국인 대학원생 확보를 위해서 외국인 대학원 입시 전형을 별도로 진행하고, 매년 동남아 우수 대학들과 공동워크샵을 개최하여 본 교육연구단을 직접 소개하고 있어 우수한 동남아대학 외국인 학생들이 많이 유치될 것으로 생각됨. 마지막으로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비율을 현재 5학기 평균 약 87%에서 1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할 계획임.

② 참여대학원생 국제공동연구 현황과 실적

<표 2-10> 참여대학원생 국제공동연구 실적의 우수성

6.2 외국인 교수 현황과 역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의 23명의 전임교수 중 외국인 교수는 두 명임. Christopher Fiorillo는 미국에서 학위를 받고, 스위스, 영국, 미국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후 2009년도에 KAIST에 임용되었음. Sang Ah Lee는 Korean-American으로 초등학교에서 대학원까지 모든 교육을 미국에서 받고, 이탈리아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이어서 교수로 근무하다 2017년도에 KAIST에 임용되었으나, 현재는 타기관으로 이직한 상태임. 2023.6월에 Rajib Shubert 교수와 Hui-Shan Li 교수가 임용예정이고, 이후로도 외국인 전임교원임용을 위한 인터뷰가 진행됨. 외국인 교수는 기존에 있던 한국 교육시스템과 다른 다양한 교육방식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아직까지 한국 대학에서는 새로운 교육 분야인 뇌인지공학이 자리 잡을 수 있게 꾸준히 노력하였음.

또한 학과 대외협력위원회 활동으로 해외 대학들과 활발한 교육/연구 교류(심포지엄 개최, MOU 체결)를 통해 교환학생, 해외대학방문, 해외공동연구, 유학 등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기회를 열어주는데 기여하였음.

외국인 전임교수 현황

No. 성명 / 임용시기 / 직급 / 국적 / 학사출신대학 / 박사출신대학 / 교육 / 연구 분야


외국인 전임교수의 대학원 강의실적 현황 (2020.9-2023.2)

담당교수 / 개설년도 / 개설학기 / 과목구분 / 과목번호 / 분반 / 과목명

Christopher Fiorillo / 2020 / 가을학기 / 학사/대학원 / BiS400 / B  / Special Topics in Bio and Brain Engineering<Neurobiology of Intelligence>

Christopher Fiorillo / 2021 / 가을학기 / 대학원 / BiS527 /  / Theory of Brain Function

Christopher Fiorillo / 2022 / 봄학기 / 학사/대학원 / BiS400 / B  / Special Topics in Bio and Brain Engineering < Neurobiology of Intelligence>

Christopher Fiorillo / 2022 / 가을학기 / 대학원 / BiS527 /  / 뇌기능 이론

Sang Ah Lee / 2020 / 가을학기 / 대학원 / BiS529 /  / Neural Basis of Spatial Cognition

신임 예정 외국인 전임교수 활용계획 (강의 및 공동연구)

○ Rajib Schubert

“Introduction to neural circuits and Nanomachines of the cell” 교과목 조교로서 20여명의 학생들 대상으로 직접 강의를 진행해 본 경험을 가지고 있고, 세포와 분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Nanobiomaterials 교과목이나 나노바이오물리(Nanobiophysics) 교과목 또는 관련 연구분야의 글로벌 제약회사의 개발경험 및 실험적 경험을 통해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 관련 교과목 개설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Viral Stamping기술은 바이오진단칩, 나노바이오메디슨, 고해상도 영상장비, 바이오정보분야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활성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Hui-Shan Li

CAR-T, macrophage 등 계획으로 제시한 연구에 있어서 핵심을 차지하는 타겟 유전자의 발굴 측면에서 암유전체학, 생명정보학 분야 및 세포를 이용한 체내 진단 연구에서 바이오 정보부터 진단 센서까지 다양한 영역과 협력 예정임.

Immunoengineering 관련 교육을 제공함으로 학과 및 학교내 바이오공학 교육을 확장할 예정임.

○ Yul HR Kang

Computational Theories of decision making 관련 강의 및 멘토경험이 풍부하여 계산신경과학분야 전산실습 교과목 개설 및 운영에 강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이에 대학원 교과과정내 Neuroscience & Biology 교과목 개설하여, Computation/Theoretical Neuroscience 관련 교육강화에 집중할 예정임.

MD 출신으로서 학부 2학년에 개설된 Human Physiology 교과목 강의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어, 학과내 MD 출신의 교수와 함께 교과목 담당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질병진단을 연구하는 그룹과 함께, 인지기반 뇌인지 장애 및 질환 진단분야를 추가함으로서 연구협력은 물론 연구시너지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Computaional Neurosicence 및 임상응용 분야에서 학과의 우위를 확실하게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Tristan Geiller

Brain science fundamentals 학부강의를 새로운 교재로 엔지니어 관점에서 강의 가능하고, 대학원 강의에서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single neuron에서 brain wide system까지 다양한 레벨에서 insight를 키우는 수업은 뇌/생물정보학 연구자 양성에 꼭 필요한 좋은 수업으로 예상됨.

뉴로사이언스 위주의 연구 및 다양한 엔지니어링 백그라운드를 이용할 줄 안다는 점이 긍정적이며, 뇌투명화, 뇌이미징, 뇌신호측정 등 다양한 신경과학분야 및 광학분야에서 연구협력 가능성이 많음.

brain research 관련 tool 개발 연구와 협력 가능성이 크고, 특히, neural fiber 개발, neurophotonics 기술, post mortem tissue analysis 기술들과 융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