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교육연구단 구성, 비전 및 목표
1. 교육연구단 구성
1.1 교육연구단장의 교육⦁연구⦁행정 역량
<표 1-1> 교육연구단장 최근 5년간 연구실적 (내용보기)
연구 (논문/특허 실적 및 기술사업화)
본 교육연구단의 단장은 마이크로광학기술 개발 및 응용을 위해 1999년 박사과정 (UC Berkeley) 을 시작 후 지난 21년간 기존 바이오의료내시경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내시경용 카메라소자 및 물리적 생검이 필요 없는 광학생검용 내시현미경 소자관련 원천기술을 개발을 진행 중이다. 내시경 카메라소자로서 광시야각, 고감도영상, 가변초점 및 3D 영상용 마이크로광학소자 개발과 내시현미경소자로서 마이크로광스캐너 및 이의 응용나노광학소자 개발 후 최우수등급 SCI 국제저널 (Science, Advanced Materials, Nano Letters, PNAS, NPG Light: Science & Applications) 등 현재까지 70 여편의 SCI 논문 게재와 60 여건의 국내외 특허 등록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SPIE Photonics West (최대의료광학영상학회) 와 IEEE Photonics 학회를 포함하여 150여회 이상의 국내외 초청강연을 발표하였고, 바이오포토닉스분야 초소형광학소자 개발분야에서 국제적 선도연구그룹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Google Scholar 기준 h-index: 28, 총 인용회수: 3326회).
수상실적으로 KAIST연구상 (2013), KAIST 기술혁신상 (2012), BRIC 주관 2017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Top 5 (2017), KAIST 국제협력상 (2020) 등이 있고, 2019년 제 24회 IEEE Optical MEMS and Nanophotonics 국제학술대회 행사를 한국에 처음으로 유치하여 대회장으로서 20여개국의 참가자들과 함께 국제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주요 연구과제 수행실적으로 중견(도약)연구자사업(2010-2015, 2016-2021),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총 50억 총괄책임, 2011-2016), 보건복지부 첨단의료기기사업(총 48억 총괄책임, 2013-2018), 삼성미래기술센터과제(총 15억 총괄책임, 2014-2020)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삼성전자를 비롯한 중소기업, 스타트업과 함께 산학협력과제를 수행하여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런 연구성과의 기술상용화를 위해 생체인식센서 스타트업인 ㈜리얼아이덴티티, 생체현미경 스타트업인 ㈜브이픽스메디칼을 창업하였고, IOT 헨드헬드분광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파이퀀드 등 최고기술고문을 역임하며, 총 4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적극적인 기술사업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교육
2006년 부임이후 ‘바이오포토닉스’ 대학원 교과목 개설 및 운영을 통해 광학과 바이오의료의 융합교육에 집중하고 있으며, 또한, 학부 3학년을 위한 ‘Biomechanics’ 교과목 개설 및 운영, 신입생 및 타전공자를 위한 ‘바이오공학의 이해’ 및 ‘새내기세미나’ 교과목 개설 및 운영, 학부 3학년의 의한 ‘바이오공학실험 II’전필교과목 개설 및 운영하였고, 과학저널리즘 및 미래전략대학원 교과목으로 나노기술교과목을 운영하며, 학부/대학원/타전공자를 위한 교내 바이오의료융합교육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행정
2019년 3월부터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학과장 보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동연구, 교육, 국제협력 및 학과 행정분야에서 다양한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진행하고 있다. 공동연구 장려를 위해 4대과기원 공동연구사업을 기획/추진하고 있고, 범부처 의료기기 대응, 산업기술통상자원부 알케미스트 사업에 학과교수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대형과제 유치를 위한 노력을 장려하고 있으며, 교육환경개선을 위해 강의실 및 소형세미나실을 구축하였다. 특히, 코로나19 펜데믹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세미나실의 원격수업 시설구축, Webinar 형태의 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학부생 원격수업 설문조사를 통한 개선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국제협력강화를 위해 스위스 취리히대학, 싱가폴 국립대학등 매년 학과교수들과 함께 현지 대학방문을 하여 국제공동워크샾 및 MOU를 체결하고, 국제공동연구 및 학생교류를 장려하고 있다.
또한, 행정혁신을 위해 교원 승진/재임용/연봉제평가등 인사절차 개선, 학과 5대 연구분야에 맞는 최정상급 젊은 신임교수 발굴은 물론 여성/외국인 교수비율을 대학원 학생 성별, 외국인학생 수에 맞춰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학과장으로서 본 교육연구단의 목표에 맞게 학과운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1.2 대학원 학과(부) 소속 전체 교수 및 참여연구진
<표 1-2> 대학원 학과(부) 소속 전체 교수 및 참여연구진 (내용보기)
1.3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내용보기)
<표 1-3>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전임 교수 현황
<표 1-4>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소속 전임 교수 변동 현황
<표 1-5> 최근 3년간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소속 전임 교수 변동 내역
<표 1-6>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표 1-7> 교육연구단 대학원 학과(부) 외국인 학생 현황
[첨부 1] 2020년도 대학원 학과(부) 소속 전체 교수 현황 (내용보기)
[첨부 2] 2020년도 대학원 학과(부) 소속 대학원생 현황 (내용보기)
2. 교육연구단의 비전 및 목표
2.1 교육연구단의 비전 및 목표
■ 교육연구단의 비전
본 교육연구단은 더 나은 인간의 삶을 위한 혁신적인 바이오융합 지식과 기술의 창조를 목표로 생명과학및 의학과 정보, 전자, 나노 공학이 다학제적으로 융합된 바이오공학 분야를 국제적으로 선도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생명과학/의과학과 공학기술 융합을 통해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세계적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세계적인 바이오공학 리더이며, 융합학문 추구를 통해 길러진 유연한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에 머물지 않고 중요한 문제를 새롭게 도출할 능력을 갖춘 “유연한 문제도출형 인재”를 추구한다.
이를 위하여 인체 및 질환에 대한 이해와 융복합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기초과학과 공학기술의 연계성 및 응용성을 강조하는 학제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기초 학문의 토대 위에 다학제적 지식을 겸비한 바이오정보, 바이오의료 기기 및 영상, 바이오의료 재생기술 분야의 국제적 역량을 갖춘 창의적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교육연구단의 주요 연구분야는 생명정보/시스템생물학, 바이오전자, 바이오/의료 영상, 바이오나노/마이크로 시스템, 뇌인지공학/신경공학이다.
연구 비전은 KAIST 2031의 연구혁신 비전인 “인류와 국가의 난제 해결 연구”로 설정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바이오공학 기반기술 개발, 미래 유망분야 선정 및 집중육성, 중개연구 및 산업화선도 연구인력 양성 등을 목표로 한다.
기초연구에 머무르지 않고 인류가 당면한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기업가 정신을 갖춘 기업가형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바이오공학 분야의 기술사업화혁신을 이룬다.
연구혁신을 위한 BIO-IT Flagship 연구 인터페이스 구축 사업을 통하여서 첫째, Bio-IT Flagship Forum을 통해 학과 교수간 융합연구 발굴, 국제 공동연구 지원을 통한 High Impact/High Citation 연구를 장려하는 효과를 기대하며, Bio-IT Flagship Innovation Space 구축 사업을 통하여 Bio-IT 싱크탱크 사업과 Bio-IT flagship forum 사업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융합 공간 구축 및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바이오공학 분야의 세계 저명 대학들을 대상으로 벤치미킹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융합공학 분야 교육과정과 커리큘럼을 개발 발전시키며 외국 우수 대학들과의 연계 교육을 통해 세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을 하고자 한다. 또한, 국제 우수 연구그룹들과의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한다.
이러한 교육, 연구, 기술사업화 및 국제화 부분에서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향후 10년 이내에 바이오공학 분야의 World Top 10 Department로 성장을 목표로 한다.
■ 세계 저명대학 벤치마킹 분석 결과
벤치마킹을 위해서 바이오-뇌융합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국의 4개 대학(Duke Universi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University of Michigan 및 Brown University)과 유럽의 1개 대학(Aalto University, 핀란드)의 관련 학과들을 선별하여 최근 2년간 (2017년-2018년) 교수수, 논문수, 논문당 피인용수, 논문당 Journal Imfact Factor (JIF), 교수당 JIF, 교수당 논문수 등을 비교하였다.
본 학과의 교수수는 세계 저명대학 학과들과 유사하거나 약간 적은 정도이며 앞으로 매년 1명 이상의 교수를 충원하여 그 수를 계속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본 학과에서 최근 2년간 발표한 논문수 및 논문당 피인용수는 미국 저명대학 학과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이 되어, 앞으로 본 교육연구단의 국제화 사업을 통하여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 연구그룹과의 공동연구을 수행하여 논문수 뿐만 아니라 논문당 피인용수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본 학과에서 최근 2년간 발표한 논문당 JIF는 바이오-뇌융합 분야 세계 저명대학 학과들과 매우 근접하는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이 되어, 본 교육연구단이 이러한 질 높은 연구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의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개선하는데 노력할 계획이다.
본 학과에서 최근 2년간 발표한 논문에 대한 교수당 JIF는 미국 저명대학 학과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이 되어, 본 교육연구단의 국제화 사업을 통하여 참여교수 모두가 질 높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 연구그룹과의 공동연구 기회를 많이 제공할 계획이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연구 분야에서는 현재 본 교육연구단이 바이오-뇌융합 분야 세계 저명대학 학과들과는 약간의 격차가 있지만 앞으로 본 교육연구단은 국제화 사업을 통하여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 연구그룹과의 공동연구를 활발히 지원하여 세계 저명대학 학과들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교육 비전
본 교육연구단은 바이오기술에 바탕을 둔 전자, 전산, 나노 기술의 융합분야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하여, 한국 국민과 전 세계 인류의 미래를 열어줄 기술을 개발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삶의 질을 향상한다.
이를 위하여 T자형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은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컴퓨터 및 기존 공학 분야의 교육과목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생명과학 및 의학과 공학의 융합을 토대로 기존의 교육체계에 고정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문제의 해결에서 멈추지 않고 인류가 당면한 여러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문제를 도출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유연한 문제도출형 인재”를 양성한다.
즉, 개념융합형 및 문제도출형 인재를 발굴하고 심층융합형 인재로 키우는 교육철학을 실현하려한다.
바이오융합 공학의 신인재 (new blood) 양성을 목표로 생명과학/ 의과학과 공학 기술 사이에서 유연한 사고와 새로운 문제를 도출할 수 있는 세계적 공학 리더를 양성한다.
바이오공학의 중요한 문제(Real-world Bioengineering Problems)를 다학제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전공지식과 연구 경험 및 소통기술을 갖춘 바이오융합 인력양성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 의료 기술에 바탕을 둔 전자, 전산, 나노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리더를 양성한다.
바이오기술에 바탕을 둔 전자, 전산, 나노 등의 다학제 분야가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integrated),바이오의료 분야의 학문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에 유연하게 적응 가능하며 (flexible), 글로벌 학계와 산업계의 수요에 발맞춘 실질적인 (practical)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부 대학원에서 추진하는 Education 4.0, STAR-MOOC 등 미래교수법에 필요한 교육 인프라를 활용하여 새롭고 혁신적인 강의 교습법 개발을 통해 대학원 강의의 질적 수준 향상 및 바이오공학 분야 최신 지식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학생들의 국제적 연구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기 위하여, KAIST Bio-IT Healthcare Initiative 프로그램, 해외 젊은 과학자/공학자 초청 국제학술대회 등과 같은 다방면의 교류와 진로 개발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취업의 질적 우수성을 재고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개발 운영한다.
■ 교육연구단의 교육 목표 및 전략
커리큘럼은 크게 의학 및 생물학, 바이오정보학/시스템생물학 (Bioinformatics/Systems Biology), 바이오전자 (Bioelectronics), 바이오나노/마이크로시스템 (BioNano/MEMS), 뇌/신경공학 (Neural Engineering) 및 바이오이미징 (Biomedical Imaging) 관련 과목들을 제공한다.
바이오기술에 바탕을 둔 전자, 전산, 나노 등의 다학제 분야가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integrated),바이오의료 분야의 학문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에 유연하게 적응 가능하며 (flexible), 글로벌 학계와 산업계의 수요에 발맞춘 실질적인 (practical)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한국 정보전자기술의 강점을 활용하여, Information Technology, Nano-Technology와 Bio-Technology의 융합 교육에 집중하고 이 분야의 교육혁신을 통하여 국내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적인 기술진보에 일익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한다.
더욱이 2015년 시작된 ‘뇌인지공학프로그램’ 에서는 다음 세대의 신성장동력원인 뇌인지공학 분야에서 학계와 산업계를 이끌고 갈 세계적 리더 양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졸업생은 산업계 및 출연연, 대학 등의 진로를 선택하며, 벤처창업을 통해 산업계에 진출하여 우수한 성과를 보이며, 국내외 여러 유수 대학의 교수로 임용되어 바이오융합기술 분야의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바이오공학 분야의 유기적 융합교육을 위한 최적의 교과목 구성과 분야 간 교차이수 체계, Biofusion 세미나 등의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한다.
바이오공학 분야의 급격한 발전에 발맞출 수 있는 맞춤형 교과목 시스템 하에 글로벌 경쟁력 양성을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개설과 변경이 가능한 신개념의 교과과정을 도입하여 신기술의 소개, 관련 산업계 동향, 논문작성 및 발표법 등 다양한 단기 교육을 제공한다.
■ 연구 비전
본 교육연구단은 인체 및 질환에 대한 이해와 미래바이오산업을 견인하는 요소기술 (IT, BT, NT, CT)의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과학 및 공학 기술과 의학 간의 연계성 및 응용성을 강조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기초 학문의 토대 위에 다학제적 지식을 겸비한 바이오 정보, 바이오 의료기기 및 영상, 바이오의료 재생기술 분야 등의 국제적 역량을 갖춘 창의적 연구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교육연구단의 주요 연구분야는 생명정보/시스템생물학, 바이오전자, 바이오/의료 영상, 바이오나노/마이크로 시스템, 뇌인지공학/신경공학이며 교육연구단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KAIST 2031의 연구혁신 비전인 “인류와 국가의 난제 해결 연구”를 연구 목표로 상정하고 바이오공학 분야의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성장한다.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바이오의료공학 기술 개발, 병원과의 공동연구 강화를 통한 중개연구 활성화 및 연구인력 양성, 바이오의료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산학협력 기반 마련, 난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중대형 연구센터 설립 등을 추진하고자 한다.
■ 교육연구단의 연구 목표 및 전략
본 교육연구단은 현재 미래 바이오산업을 견인하는 요소기술 (IT, NT, CT)의 융합을 통해 핵심 플랫폼기술 (바이오의료 정보기술, 바이오 의료기기 및 의료영상, 생체 재료 및 재생기술)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서 미래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기 위하여, 세가지 요소기술 (IT, NT, CT)에 있어서 기초과학 수준에서의 요소기술 융합연구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이러한 요소기술 수준의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핵심 플랫폼기술 (바이오의료 정보기술, 바이오의료기기 및 영상기술, 바이오의료 재생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도록 한다.
나아가 바이오의료 융복합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창의적이고 미래 선도적인 연구성과를 거두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교육연구단은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차별화된 세부연구목표들을 바탕으로 교육연구단 연구 역량을 현격히 향상시키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바이오의료산업의 미래 유망 분야를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 플랫폼 기술들을 활용하여 유전체정보 활용을 통한 개인맞춤형 의료서비스, 뇌-신경 IT 융합 산업, 첨단기기 기반의 U-헬스/스마트케어 등의 구현을 위한 연구에 집중 투자한다.
또한 연구의 방향 측면에서는 주로 신기술, 첨단서비스, 신제품을 창출할 수 있는 목표지향적인 연구전략을 개발하고자 한다.
바이오공학 융합산업의 급변하는 사회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하향식 (Bottom-up) 핵심연구주제 발굴과 동시에 산업체 공동연구에서는 상향식 (Top-down)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적 연구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중개연구 (Translational Research) 전문 인력을 충원하여 산업체와의 유기적인 피드백을 통한 바이오의료 융합기술의 실용화 및 상용화를 선도할 것이다.
미래유망 분야 (중점연구분야) 의 집중 육성을 위하여 중점분야 신임교원 유치, 우수 post-doc 및 연구교수 적극 영입, 병원과의 중개연구 협력 강화, 미래유망 분야 중대형 연구센터 유치, 헬스케어/뇌인지 I-Network 구축, 송도국제도시 TP와의 네트워크 강화, 교육연구단 학생들의 창업피칭 사업 추진 등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바이오공학 융합분야의 국제적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중국(칭화대)-일본(동경대)-동남아(싱가폴 바이오폴리스)와의 연구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아시아 바이오의료 융합연구 코어 구축을 추진한다.
미래유망 분야 중 특히 유전체정보 활용을 통한 개인맞춤형 의료서비스, 뇌-신경 IT 융합 산업, 첨단기기 기반의 U-헬스/스마트케어 등의 구현을 위한 연구에 있어 KAIST 연구소 (KAIST Institute) 의 연구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본 학과의 세부 분야별 구체적인 연구 목표 및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바이오의료 및 신경 정보공학 분야
IT와 BT의 융합을 통해 생명 시스템으로부터 유래되는 데이터 (DNA, RNA, protein 등 분자 및 세포, 개체 수준에서의 정보를 모두 포함)를 다양한 전략 및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개인별 맞춤의학, 신약개발, 뇌 질환 진단 및 치료 등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의학적 지식을 발굴한다.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 및 분석함으로써 치료제 및 고기능 생체물질 개발을 위한 설계를 진행하고, 단백질-단백질,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 등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신약개발연구에 기여한다.
개인유전체,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등에서 나오는 여러 차원의 데이터를 토대로 생명 진화 등 기초 학문에서부터 의약개발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공헌할 수 있는 새로운 생물학적 지식 탐색을 수행한다.
2. 바이오/뇌 이미징 기술 개발
기존의 영상 기법들의 한계를 극복하여 이제껏 보지 못했던 세포 및 장기들의 구조와 기능을 정량화 하고, 궁극적으로 질병을 이해하여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한다.
새로운 바이오의료 영상 기술 및 기기를 개발하여 생물학, 뇌과학, 임상연구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바이오 의료 분야의 발전을 도모한다.
뇌의 고위 인지 기능의 작용기전, 행동에 대한 분석과 이들 기능의 손상 기전 분석에 따른 뇌 작동 기전의 이해를 위한 연구 및 고위 뇌 기능 손상시 이의 치료 및 조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뇌손상 환자들에 대한 임상연구에 활용한다.
3. 의료용 진단 및 치료기기 분야
바이오 및 나노 기술의 융합을 통해 진단 및 치료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개인 맞춤형 통합적 스마트 헬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바이오진단센서 (단백질 칩, DNA 칩, 세포 칩, 장기 칩 등)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개개인의 질병/질환의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조직재생기술 및 장애개선기술을 통해 치료단계에서 요구되는 공학적 툴을 개발한다.
나노기술과 마이크로시스템 기술을 적용시켜 생물학, 화학, 의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미세유체소자를 개발하고, 생물학적 시료전처리, 분리분석 및 초고감도 검출을 위한 나노바이오센서, 미세유체소자 및 랩온어칩 개발을 통해 해당 분야에 기여한다.
■ 국제화 목표 및 전략
본 교육연구단은 인류와 국가가 당면한 여러 난제 해결을 통한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의 실현을 위해 혁신적인 바이오융합 지식과 기술의 창조를 목표로 생명과학 및 의학과 정보, 전자, 나노 공학이 다학제적으로 융합된 바이오공학 분야를 국제적으로 선도할 창의적이고 미래 선도적인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비전을 갖고 있다.
본 교육연구단이 바이오공학 분야 글로벌 TOP10 대학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올해부터 바이오공학 분야 글로벌 우수 대학의 학과장을 정기적으로 초청하여 각 대학원의 대학원 교육 과정, 우수 외국인 유치 등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관련 학과운영 전략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본 교육연구단 참여교수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
본 교육연구단의 글로벌 대학원 교육을 실현하고 우수한 인재를 해외로부터 확보하고 위하여 올해부터 매년 바이오공학 분야 우수 동남아 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본 교육연구단의 대학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대학원 진학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직접 면담을 진행하여 우수한 인재가 본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재 유치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본 교육연구단은 글로벌 교육 인프라 향상을 위해서 모든 강의를 영어로 제공하고 더 많은 외국인 전임교수를 확보할 계획이며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비율도 1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도할 계획이다.
본 교육연구단은 현재 MOU 체결하고 있는 바이오공학 분야 글로벌 우수 대학과 대학원 공동학위제(double degree)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 추진하여 본 교육연구단 대학원생들에게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국제적 교육과정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본 교육연구단은 최신 글로벌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국제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바이오공학 각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석학을 초빙하여 세미나 및 심포지움을 활발히 개최할 계획이다. 이러한 행사를 통하여 해외석학과 참여교수 간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대학원생들이 해외석학 연구실을 방문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공동 지도교수 및 학위논문 심사위원으로 초빙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본 교육연구단은 해외 선도 연구그룹 방문 국제공동연구를 지속해서 확대하기 위하여 현재 바이오공학 연구 및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보스턴 지역의 학교, 연구소, 및 회사를 방문하여 관련 연구진들과 본 교육연구단 참여교수진과의 국제공동 워크샵을 정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최신 선도 바이오공학 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연구자들과 공동연구 환경을 조성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